"코스피 3,114.95(+1.81%), 금융주·화장품 강세!"

  "2025.7.8 한국 증시: 코스피 3,114.95(+1.81%)" ​ ​ 시장개요 2025년 7월 8일, 한국 증시는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에도 불구하고 관세 부과 시점 유예 소식과 협상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코스닥은 외국인과 개인의 순매수에 힘입어 각각 강세를 기록했다. ​ 그러나 삼성전자의 2분기 어닝 쇼크와 2차전지 섹터의 부진은 시장 상승폭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 ​ 코스피 : 3,114.95포인트(+55.48P, +1.81%) ​ 시황 : 장초반 3,066.03에서 저점을 형성한 후 상승폭을 확대, 장후반 3,115.86에서 고점을 찍고 3,114.95로 마감. ​ 상승 요인 : 트럼프 관세 부과 시점 8월 1일로 유예, 배당세제 개편 기대감, 외국인(2,440억 순매수) 및 기관(224억 순매수)의 동반 매수, 금융주(은행, 보험, 증권) 강세. ​ 하락 요인 : 삼성전자(-0.49%)의 2분기 어닝 쇼크, 2차전지 관련주(LG에너지솔루션 -2.54%, 삼성SDI -1.13%) 약세. ​ ​ ​ 코스닥 : 784.24포인트(+5.78P, +0.74%) ​ 시황 : 장초반 강보합 출발(779.28, +0.11%), 장중 저점 775.57(-0.37%) 기록 후 오후 상승폭 확대, 784.37에서 고점 후 784.24로 마감. ​ 상승 요인 : 관세 부과 시점 유예에 따른 안도감, 외국인(362억 순매수) 및 개인(729억 순매수) 매수, 화장품 및 엔터주 강세. ​ 하락 요인 : 기관의 3거래일 연속 순매도(1,124억), 제약(-1.36%) 및 비금속(-0.77%) 섹터 약세. ​ ​ 상승 섹터 및 테마 분석 섹터/테마 종목명 등락률 상승 요인 은행 하나금융지주 +10.27% 배당세제 개편 기대감, 2분기 순이익 컨센서스 상회 전망, 저 PBR 리레이팅 가능성. ​ 우리금융지주 +8.32%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 원화대출 성장 및 비이자이익 개선. ​ 신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