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116.27로 연고점 경신! 철강, 2차전지, 반도체 강세"

 “2025년 7월 2일 한국 증시: 코스피 3,116.27로 연고점 경신! 철강, 2차전지, 반도체 강세. 상승·하락 섹터 분석과 투자 전략"

1. 시장 개요

코스피 마감 시황

마감 지수: 3,116.27포인트 (+41.21P, +1.34%)

시황: 코스피는 美-베트남 무역합의 타결, 상법 개정안 통과, 삼성전자의 강세,

그리고 외국인 및 기관의 동반 순매수에 힘입어 1.34% 상승하며 202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

장 초반 3,085.98포인트로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확대,

장 후반 3,116.27포인트로 마감하며 연고점을 갱신.

상법 개정안 통과로 주주 중심 경영 강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개선했으며,

삼성전자(+4.93%)가 시총 1위로서 지수 상승을 주도. 외국인은 6,319억 원, 기관은 5,618억 원 순매수,

반면 개인은 1조 2,328억 원 순매도.

주요 상승 요인:

美-베트남 무역합의로 공급망 불확실성 해소 및 관세 리스크 완화.

상법 개정안 통과(이사 충실의무 확대, 전자 주총 의무화, 사외이사 명칭 변경 등).

삼성전자를 포함한 기술주 강세 및 외국인/기관 순매수.

주요 하락 요인: 방산, 조선, 전력설비 등 일부 섹터에서 차익 실현 매물 출회.

코스닥 마감 시황

마감 지수: 793.33포인트 (+11.16P, +1.43%)

시황: 코스닥은 코스피와 유사한 외부 요인(美-베트남 무역합의, 상법 개정안 통과) 및 외국인/기관의 순매수로 1.43% 상승하며 하루 만에 반등. 장 초반 783.53포인트에서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폭을 확대, 장 후반 793.61포인트로 고점을 형성하며 마감.

2차전지 및 반도체 관련주가 테슬라(+4.97%) 상승과 상법 개정안 효과로 강세를 보였으며,

외국인은 7거래일 만에 1,096억 원 순매수, 기관은 5거래일 연속 396억 원 순매수. 개인은 1,497억 원 순매도.

주요 상승 요인:

美-베트남 무역합의로 기술주 및 수출 관련주에 긍정적 영향.

상법 개정안 통과로 투자 심리 개선.

테슬라 강세에 따른 2차전지 및 반도체 테마 동반 상승.

주요 하락 요인: 엔터테인먼트 및 일부 소비재 섹터에서 차익 실현 및 부정적 이슈(하이브 관련)로 하락.


2. 상승 섹터 및 테마

섹터/테마

종목명

등락률

상승 요인

철강

현대제철

+16.18%

美-베트남 관세 합의로 반덤핑 제소 기대감 및 AWS와 전략적 협약 체결.

POSCO홀딩스

+8.33%

관세 협상 기대와 철강 수입비중 감소 전망.

포스코스틸리온

+4.01%

철강 중소형 테마 동반 상승.

2차전지/전기차

LG에너지솔루션

+5.29%

美 테슬라(+4.97%) 상승 영향 및 전기차/리튬 테마 강세.

삼성SDI

+3.52%

글로벌 전기차 수요 증가 기대.

에코프로머티

+12.08%

전기차 및 리튬 테마 상승.

에코플라스틱

+17.16%

탈 플라스틱 및 전기차 테마 동반 상승.

반도체

삼성전자

+4.93%

美 상원 반도체 세액공제 확대(35%) 및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1.88%) 상승.

에프에스티

+16.80%

반도체 장비 및 부품 수요 증가.

유진테크

+13.89%

EUV 장비 관련 기대감.

원익IPS

+9.45%

반도체 및 태양광 테마 동반 상승.

탈 플라스틱

삼륭물산

+29.91%

이재명 대통령의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로 친환경 소재 수요 기대.

세림B&G

+29.99%

생분해성 소재 관련 긍정적 전망.

종합 물류

KCTC

+14.05%

북극항로 개척사업 국정과제 추진 소식.

중국 소비

파라다이스

-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상시화 검토로 카지노/면세점 수혜 기대.

호텔신라

-

면세점 및 화장품 수요 증가 전망.

의약/바이오

대웅제약

+9.29%

2분기 호실적 전망 및 보톡스 수출 증가.

파마리서치

+6.28%

리쥬란 성장 기대 및 중국 수주 급증.

알래스카 LNG

이렘

+13.43%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기대감으로 강관/자원개발 테마 상승.

상승 요인 분석

철강: 美-베트남 무역합의로 관세 리스크가 완화되며 반덤핑 제소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다올투자증권은 2025년 7월 말 열연 및 후판 반덤핑 조사 결과가 긍정적일 가능성을 언급하며,

수입물량 감소와 판가 상승 전망이 철강주를 견인. 현대제철은 AWS와의 협약으로 추가 모멘텀 확보.

2차전지/전기차: 테슬라의 2분기 인도량 선방(38.4만 대) 및 주가 상승(+4.97%)으로 전기차 관련주에 긍정적 영향.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은 글로벌 전기차 수요 증가와 리튬 테마 강세로 동반 상승.

에코플라스틱은 탈 플라스틱 정책과 전기차 테마의 시너지 효과로 급등.

반도체: 美 상원의 반도체 세액공제율 35% 확대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형주와 장비/부품주(에프에스티, 유진테크)에 긍정적.

중국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 완화 소식도 반도체 테마 전반에 호재.

탈 플라스틱: 이재명 대통령의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로 친환경/생분해성 소재 기업에 대한 관심 증가.

삼륭물산, 세림B&G는 재생원료 의무화 정책 수혜 기대감으로 상한가 기록.

종합 물류: 북극항로 개척사업 국정과제 추진 소식으로 물류 관련주 상승.

KCTC는 부산 중심 해양강국 정책과의 연계로 주목.

중국 소비: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상시화 검토로 카지노, 면세점, 화장품 테마가 수혜 예상

. 파마리서치의 중국 수주 급증도 긍정적.


3. 하락 섹터 및 테마

섹터/테마

종목명

등락률

하락 요인

방산

현대로템

-3.40%

폴란드 K2 전차 계약에도 차익 실현 매물 출회.

한화

-5.43%

방산 수출 기대감 약화 및 차익 매물.

한화시스템

-1.97%

방산 테마 전반의 조정.

조선

HD한국조선해양

-3.92%

상반기 수주 부진 소식으로 투자 심리 위축.

HD현대중공업

-3.31%

조선기자재 테마 동반 하락.

삼성중공업

-1.51%

글로벌 수주 경쟁 심화 우려.

전력설비

HD현대일렉트릭

-6.77%

차익 실현 매물 및 전력설비 테마 조정.

산일전기

-5.32%

단기 급등 후 조정 국면.

일진전기

-9.38%

수익 실현 매도 압력.

엔터테인먼트

하이브

-4.75%

방시혁 의장 금감원 소환 조사(사기적 부정거래 혐의).

에스엠

-6.09%

엔터테인먼트 테마 전반의 투자 심리 악화.

JYP Ent.

-3.50%

하이브 이슈로 동반 하락.

하락 요인 분석

방산: 폴란드 K2 전차 2차 계약(180대, 8.8조 원 규모) 소식에도 현대로템 등은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

한화, 한화시스템은 방산 수출 기대감이 약화되며 조정 국면 진입.

단, 일부 방산주(웰크론, 덕산하이메탈)는 계약 기대감으로 상승.

조선: 상반기 수주 부진 소식과 글로벌 조선 수주 경쟁 심화 우려로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중공업 등이 하락. 조선기자재 테마도 동반 약세.

전력설비: 단기 급등 후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HD현대일렉트릭, 일진전기 등 전력설비 테마가 하락.

시장의 관심이 반도체, 2차전지로 이동하며 상대적 소외.

엔터테인먼트: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 금감원 소환 조사(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투자 심리 악화.

에스엠, JYP Ent.는 하이브 이슈의 여파로 동반 하락.


4. 투자 전략

단기 전략 (1~3개월)

철강: 美-베트남 관세 합의로 반덤핑 조사 결과에 대한 기대감이 지속될 가능성.

현대제철, POSCO홀딩스 중심으로 단기 모멘텀 매매 기회.

2차전지/전기차: 테슬라 강세 및 글로벌 전기차 수요 회복 기대감으로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머티 등에 단기 매수 기회. 리튬 테마(이브이첨단소재)도 주목.

반도체: 美 세액공제 확대와 중국 수출 제한 완화

삼성전자, 유진테크 등 반도체 장비/부품주 단기 상승 모멘텀 지속 예상.

리스크 관리: 방산 및 조선 섹터는 단기 조정 가능성 높아 보수적 접근 필요.

엔터테인먼트는 하이브 이슈로 변동성 확대 우려.

중기 전략 (3~6개월)

탈 플라스틱: 정부의 탈 플라스틱 로드맵 추진으로

삼륭물산, 세림B&G 등 친환경 소재 기업의 중기 성장성 주목.

재생원료 의무화 정책 수혜 지속 예상.

중국 소비: 중국 무비자 정책 상시화 및 APEC 정상회의(11월)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등 중국 소비 테마의 중기 상승 가능성.

의약/바이오: 대웅제약(보톡스), 파마리서치(리쥬란) 등

미용/바이오 섹터는 글로벌 수요 증가로 안정적 성장 전망.

리스크 관리: 조선 및 전력설비 섹터는 글로벌 경기 둔화 및 수주 부진 리스크로 중기 회복 시점 지연 가능성.

장기 전략 (6개월 이상)

반도체/2차전지: AI 및 전기차 산업의 구조적 성장으로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등 대형주 중심의 장기 포트폴리오 구성 추천.

EUV 및 LFP 기술 관련 중소형주(에프에스티, 케이지에이)도 장기 성장 잠재력 높음.

알래스카 LNG: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기대감으로

이렘, 세아제강 등 강관/LNG 관련주의 장기 성장 가능성 주목.

종합 물류: 북극항로 개척사업의 장기적 추진으로 KCTC 등 물류 기업의 구조적 성장 기회.

리스크 관리: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이란, 국제유가) 및 금리 변동성에 주의. 방산 섹터는 동유럽 수출 확대

가능성으로 장기 회복 기대.

#증시요약 #탈플라스틱 #삼륭물산 #에코플라스틱 #2차전지 #에코프로머티 #LG에너지소루션 #대웅제약 #파마리서치 #하이브 #방시혁

※본자료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금융은 재미있습니다.

세계가 움직이는 흐름에 금융이 있습니다.

금융은 곧 자산입니다.

돈이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알면

당신도 그 중심에 설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금융이야기

증시요약_Lylie

[▶ 유튜브 링크]

▶미국 증시. 한국 증시 요약

http://www.youtube.com/@odin_kospikosdaq

[▼ 세부내역. PDF 보고서 원문 보기]

▶Blogger:

http://compoundx9.blogspot.com

▶instagram: compound_x0

https://www.instagram.com/compound_x0/

▶threads: @compound_x0

https://www.threads.com/@compound_x0?hl=ko

[▼ 협업 및 문의]

▶e-mail: paradigm.odin84@gmail.com

**면책 조항**

주가 예측은 불확실성을 동반하며, 본 시나리오는 제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정입니다.

투자 결정 전 자체 조사와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RX vs NXT: 주식 거래시간과 방법 완벽 정리!"

"미·중 무역협상 속 혼조세, 테슬라 급등"

K-조선, 미해군과 손잡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