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고대역메모리) 쇼티지(공급부족) 지속"
1. HBM 시장 현황 및 수요-공급 불균형
수요 급증: AI 반도체, 특히 엔비디아의 GPU(예: B200, GB200)와 AMD의 MI325, MI350 등 고성능 컴퓨팅(HPC) 애플리케이션에서 HBM3E 및 차세대 HBM4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025년 HBM 시장 규모는 467억 달러(약 65조 원)로, 2024년 대비 156% 성장할 전망이며, HBM3E가 전체 수요의 8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급 부족: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은 이미 2025년 HBM 물량의 대부분을 선판매한 상황입니다.
SK하이닉스는 2024년에 2025년 생산 물량이 완판되었다고 밝혔으며, 고객들이 선금을 지불할 의사가 있음에도 생산 능력 부족으로 주문을 거절하고 있습니다.
이코노미스트는 HBM 공급 부족이 AI 모델 개발의 병목현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가격 프리미엄: 공급 부족으로 HBM3E 1GB당 가격은 약 16달러, HBM4는 20달러로 추정되며,
고단(12단, 16단) 제품은 기술적 난이도로 인해 더 높은 프리미엄이 붙고 있습니다.
2. 주요 기업의 상황
SK하이닉스: HBM 시장의 절대 강자로, 2024년 기준 점유율 52.5%를 기록하며 엔비디아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2025년 9월부터 HBM3E 12단(36GB) 양산을 시작했으며, HBM4 개발 로드맵도 공개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외에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 기업들로부터 커스텀 HBM 주문을 받고 있어 독주 체제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삼성전자: HBM3E에서 엔비디아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며 SK하이닉스에 뒤처져 있습니다.
그러나 HBM4에서는 AMD와 협력하며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으며, 2025년 하반기 맞춤형 HBM 제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24년 점유율 42.4%로 2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단기간 내 주요 벤더로 부상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마이크론: 현재 점유율은 5% 수준이지만, HBM3E 8단을 엔비디아 H200에 공급하며 공격적으로 시장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2025~2026년에 점유율을 각각 17%, 23%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중국 기업(CXMT): HBM2 수준의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으나, 한국 및 미국과의 기술 격차가 크고 미국 제재로 인해 대량 양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3. 기술적 트렌드
HBM3E 12단 및 HBM4로의 전환: 2025년 HBM 시장은 HBM3E 12단 제품이 주도하며, 전체 HBM 수요의 4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HBM3E 16단(48GB) 개발을 발표하며 양산 준비에 들어갔고, HBM4는 고객 맞춤형 제품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생산 기술: SK하이닉스는 MR-MUF 기술로 수율과 성능을 개선했으며, 장기적으로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한미반도체는 HBM5까지 TC본더를 활용하는 로드맵을 수정하며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 쇼티지 원인 및 전망
원인:
AI 투자 확대: 빅테크 기업들의 AI 관련 자본 지출이 2025년에도 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HBM 수요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생산 능력 한계: HBM은 수주형 제품으로, 생산 설비 확충에 시간이 걸립니다.
SK하이닉스의 M15X 팹 가동(2025년 예정)이 공급 확대에 기여할 것이나, 단기적 부족은 불가피합니다.
고단 적층의 기술적 난이도로: 12단 이상의 HBM은 수율이 낮아 생산량이 제한적입니다.
전망:
2025년까지 HBM 공급 부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2026년부터 공급 안정화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HBM4 및 HBM4E 개발로 수요가 더욱 세분화되며, 고객 맞춤형 제품이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정부 지원: 한국 정부는 HBM 연구센터 설립을 위해 추경 예산을 반영하며 HBM 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5. 영향 및 시사점
기업: SK하이닉스는 HBM 독점 공급으로 2025년 최대 50조 원 매출과 25조 원 영업이익을 달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HBM4에서의 성공 여부에 따라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시장: HBM 공급 부족은 AI 개발 속도를 저해할 수 있으며, 이는 엔비디아와 같은 주요 고객사가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소비자 및 산업: HBM 가격 프리미엄으로 AI 반도체 비용이 상승하며, 이는 AI 서비스 및 데이터센터 운영 비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6. 결론
2025년 7월 7일 기준 HBM 시장은 수요 초과로 인한 공급 부족이 심화되고 있으며,
SK하이닉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추격하는 양상입니다.
HBM3E 12단과 HBM4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며, 공급 부족은 2026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업들은 생산 능력 확대와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지원 정책도 HBM 시장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HBM #고대역메모리 #쇼티지 #공급부족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 #엔비디아 #커스텀HBM
※본자료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금융은 재미있습니다.
세계가 움직이는 흐름에 금융이 있습니다.
금융은 곧 자산입니다.
돈이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알면
당신도 그 중심에 설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금융이야기
증시요약_Lylie
[▶ 유튜브 링크]
▶미국 증시. 한국 증시 요약
http://www.youtube.com/@odin_kospikosdaq
[▼ 세부내역. PDF 보고서 원문 보기]
▶Blogger:
http://compoundx9.blogspot.com
▶instagram: compound_x0
https://www.instagram.com/compound_x0/
▶threads: @compound_x0
https://www.threads.com/@compound_x0?hl=ko
[▼ 협업 및 문의]
▶e-mail: paradigm.odin84@gmail.com
**면책 조항**
주가 예측은 불확실성을 동반하며, 본 시나리오는 제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정입니다.
투자 결정 전 자체 조사와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