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속 혼조세, 테슬라 급등"

 2025년 6월 9일 - 미·중 무역협상 속 혼조세, 테슬라 급등

"테슬라 4.6% 급등! 미·중 협상 결과는?"

뉴욕 증시는 6월 9일(현지시간) 미·중 무역협상 재개와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11포인트(0.00%) 하락한 42,761.76,

S&P500은 5.52포인트(0.09%) 상승한 6,005.88,

나스닥은 61.28포인트(0.31%) 오른 19,591.24를 기록하며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은 런던에서 열린 미·중 무역협상 결과와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주시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상승 섹터 및 테마

1. 임의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 상승률: 1.08%

이유: 테슬라의 급등과 아마존의 견조한 상승이 섹터를 견인.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이 전기차 및 전자상거래 관련 주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주요 종목:

테슬라 (TSLA)

시가총액: 약 9700억 달러

거래대금: 약 320억 달러 (일일 추정)

등락률: +4.55% (종가: 308.58달러)

이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CEO 간 갈등 완화로 투자 심리 회복.

트럼프의 "잘 되길 바란다" 발언과 머스크의 비판 트윗 삭제가 긍정적 신호로 작용.

6월 12일 로보택시(사이버캡) 서비스 개시 기대감도 주가 상승에 기여.

아마존 (AMZN)

시가총액: 약 2.3조 달러

거래대금: 약 150억 달러 (일일 추정)

등락률: +1.60% (종가: 216.98달러)

이슈: 전자상거래 및 클라우드 컴퓨팅 수요 증가 기대.

미·중 무역협상 타결 시 글로벌 공급망 개선 가능성으로 투자자 낙관론 강화.

2. 기술주 (Technology) - 상승률: 0.25%

이유: 미·중 무역협상에서 희토류 공급 정상화 가능성이 반도체 및 기술주에 긍정적.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1.96% 급등.

주요 종목:

엔비디아 (NVDA)

시가총액: 약 3.5조 달러

거래대금: 약 200억 달러 (일일 추정)

등락률: +0.64% (종가: 142.63달러)

이슈: 중국의 희토류 수출 정상화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제재 완화 가능성 소식이 주가 상승 요인.

그러나 엔비디아 H20 칩은 제재 완화 대상 제외로 상승폭 제한.

알파벳 (GOOGL)

시가총액: 약 2.2조 달러

거래대금: 약 80억 달러 (일일 추정)

등락률: +1.67% (종가: 177.63달러)

이슈: 광고 및 클라우드 사업 성장 기대. 미·중 무역협상 타결 시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성.

3. 에너지 (Energy) - 상승률: 0.22%

이유: 국제 유가(WTI +1.10%, 브렌트 +0.86%)가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으로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에너지 섹터 지원.

테마: 전기차 및 반도체

전기차: 테슬라의 급등으로 전기차 테마가 주목받음.

로보택시 서비스 기대감과 미·중 갈등 완화로 전기차 관련 주식 상승.

반도체: 희토류 공급 정상화 기대감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1.96% 상승.

브로드컴(-1.07%) 제외 29개 종목 모두 상승.

하락 섹터 및 테마

1. 필수소비재 (Consumer Staples) - 하락률: -0.24%

이유: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과 CPI 발표를 앞둔 투자자들의 관망세로 수요 감소.

2. 금융 (Financials) - 하락률: -0.55%

이유: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1년 3.2%, 3년 3.0%, 5년 2.6%)으로 연준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은행주 수익성 우려.

3. 애플 및 AI 관련주 (부분적 하락)

애플 (AAPL)

시가총액: 약 3.1조 달러

거래대금: 약 120억 달러 (일일 추정)

등락률: -1.21% (종가: 201.45달러)

이슈: WWDC에서 AI 탑재 ‘시리’ 업데이트가 2026년으로 연기된다는 발표로 투자자 실망감.

클라우드 기반 AI 대신 온디바이스 AI 고집으로 경쟁력 우려.

메타플랫폼스 (META)

시가총액: 약 1.8조 달러

거래대금: 약 90억 달러 (일일 추정)

등락률: -0.52% (종가: 694.06달러)

이슈: AI 및 메타버스 관련 기대감 약화, 경쟁 심화로 주가 약세.

테마: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AI: 애플의 AI 전략 지연으로 AI 테마 약세. 온디바이스 AI의 기술적 한계와 경쟁력 부족 우려.

상승률 상위 종목 및 이슈

테슬라 (TSLA): +4.55%

이유: 트럼프-머스크 갈등 완화, 로보택시 서비스 기대감.

분석: 테슬라 주가는 5일 14.3% 폭락 후 이틀 연속 반등하며 낙폭의 절반 이상 회복.

단기적으로 320달러(베어드 목표주가) 돌파 가능성 주목.

아이온Q (IONQ): +2.67% (종가: 40.06달러)

이유: 영국 옥스퍼드아이오닉스 인수(10.75억 달러)로 양자컴퓨팅 시장 확장 기대.

분석: 양자컴퓨팅은 장기 성장 테마로, 인수 소식이 단기 상승 동력 제공.

하락률 상위 종목 및 이슈

앱플로빈 (APP): -8% 이상

이유: S&P500 지수 편입 실패로 투자자 실망감.

분석: 지수 편입 기대감이 주가에 선반영됐으나 실패로 급락. 단기 반등 가능성 낮음.

워너브라더스 (WBD): -2.95%

이유: 케이블TV 및 스트리밍 사업 분사 소식에도 경쟁 심화 우려로 하락.

분석: 지배구조 개편의 실효성에 대한 시장의 회의적 반응.

투자에 중요한 지표 및 전망

미·중 무역협상: 런던 협상에서 희토류 공급 정상화와 미국의 대중 수출 제재 완화 가능성이 시장 심리에 긍정적.

6월 10일 오전 10시(런던시간) 협상 재개 결과 주목.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 뉴욕 연은의 5월 소비자기대설문(1년 3.2%, 3년 3.0%, 5년 2.6%)으로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7월 금리 동결 확률 85.5%(CME 페드워치).

국채 입찰: 6월 10일부터 3년물, 10년물, 30년물 입찰. 30년물 입찰 호조 여부가 시장 방향성에 영향.

5월 CPI 발표: 6월 11일 발표 예정. 관세 영향으로 물가 상승 가능성, 금리 정책에 영향.

결론

미국 증시는 미·중 무역협상과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 속 혼조세를 기록했습니다. 테슬라와 반도체주는 협상 낙관론으로 상승했으나, 애플은 AI 전략 지연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투자자는 6월 10일 협상 결과와 11일 CPI 발표를 주시하며 단기 변동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증시요약 #뉴욕 #무역협상 #테슬라 #애플 #국채금리 #로보택시

※본자료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금융은 재미있습니다.

세계가 움직이는 흐름에 금융이 있습니다.

금융은 곧 자산입니다.

돈이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알면

당신도 그 중심에 설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금융이야기

증시요약_Lylie

[▶ 유튜브 링크]

▶미국 증시. 한국 증시 요약

http://www.youtube.com/@odin_kospikosdaq

[▼ 세부내역. PDF 보고서 원문 보기]

▶Blogger:

http://compoundx9.blogspot.com

▶instagram: compound_x0

https://www.instagram.com/compound_x0/

▶threads: @compound_x0

https://www.threads.com/@compound_x0?hl=ko

[▼ 협업 및 문의]

▶e-mail: paradigm.odin84@gmail.com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RX vs NXT: 주식 거래시간과 방법 완벽 정리!"

K-조선, 미해군과 손잡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