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3,021.84(+1.48%), 3년 5개월 만에 3,000선 돌파"

 2025년 6월 20일 한국 증시: 코스피 3,000 돌파, AI·화장품 테마 급등

2025년 6월 20일 한국 증시는 이재명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과

외국인 및 기관의 동반 순매수로 강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3년 5개월 만에 3,000선을 돌파하며 3,021.84포인트(+1.48%)로 마감했고,

코스닥도 791.53포인트(+1.15%)로 상승 마감했다.

AI 정책, K-뷰티 글로벌 흥행, 소비 확대 정책 등으로 관련 테마와 종목이 두드러진 상승세를 기록했으나,

에너지, 해운, 방산 등 일부 테마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협상 시한 발언으로 하락했다.


상승 섹터 및 테마 분석

상승 섹터

섹터

대표 종목

등락률

상승 요인

IT 서비스

카카오, NAVER

+10.26%, +6.94%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 기대감, SK그룹-AWS 데이터센터 건설 소식

전기/전자

SK하이닉스, 삼성전자

+4.47%, +0.51%

HBM 수요 증가 및 반도체 산업 지원 정책 기대

화학

아모레퍼시픽, 한국화장품제조

+9.15%, +12.17%

K-뷰티 글로벌 흥행 및 중국 화장품 시장 회복 전망

오락/문화

CJ CGV, 바른손

+10.95%, +29.95%

정부의 영화관람 할인쿠폰 추경 포함 소식

제약

삼천당제약, 보로노이

+4.59%, +14.99%

바이오시밀러 규제 완화 및 항암제 개발 소식

상승 테마

테마

대표 종목

등락률

상승 요인

AI/지능형로봇

데이타솔루션, 오픈베이스, 로보티즈

+16.89%, +15.78%, +10.92%

SK그룹-AWS 7조원 울산 데이터센터 건설, 이재명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 기대감

화장품

한국화장품, 코리아나, 토니모리

+29.95%, +29.84%, +18.12%

K-뷰티 미국·유럽 시장 흥행, 중국 소비 회복 및 한중 관계 개선 기대

영화/영상콘텐츠

바른손, CJ CGV, NEW

+29.95%, +10.95%, +7.51%

정부의 영화관람 할인쿠폰 450만장 배포 계획

수소차/연료전지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일진하이솔루스

+20.88%, +10.31%, +9.69%

이재명 정부의 그린수소 정책 청사진, 두산퓨얼셀 미국 수주 확대 전망

2차전지

에코프로비엠,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12.21%, +4.81%, +4.82%

美 IRA 수정안 안도감, 반도체 수요 증가 연계

주요 상승 종목

두산퓨얼셀 (+20.88%): 미국 연료전지 시장 성장과 하이엑시움의 수주 확대 전망으로 급등.

NH투자증권은 연간 50MW 이상 수주 가능성을 언급하며 목표주가를 19,000원에서 23,000원으로 상향.

카카오뱅크 (+14.06%): 태국 가상은행 인가 획득으로 글로벌 확장 기대감이 반영.

IT 시스템 구축 주도로 2026년 하반기 영업 시작 예정.

한국화장품 (+29.95%), 코리아나 (+29.84%): K-뷰티의 미국·유럽 시장 흥행과

중국 소비 회복 전망으로 화장품 테마 강세.

데이타솔루션 (+16.89%), 오픈베이스 (+15.78%): SK그룹-AWS의 울산 데이터센터 소식과

AI 정책 기대감으로 AI 관련주 급등.

바른손 (+29.95%), CJ CGV (+10.95%): 정부의 영화관람 할인쿠폰 정책으로 영화 테마 강세.

상승 요인 분석

AI/지능형로봇: SK그룹과 AWS의 7조원 규모 울산 데이터센터 건설 소식이

AI 인프라 확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이재명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은 국내 AI 생태계 육성을 목표로 하며,

관련 기업들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부각시켰다.

화장품: K-뷰티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중국 시장 회복 전망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

NH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매출 반등과 더마 브랜드의 서구권 침투 가속화를 긍정적으로 평가.

영화/영상콘텐츠: 정부의 11.3조원 규모 추경에 포함된 영화관람 할인쿠폰 정책이 소비 진작으로 이어질 전망.

이는 영화 관련주들의 단기 모멘텀을 강화.

수소차/연료전지: 이재명 정부의 그린수소 정책 청사진과 두산퓨얼셀의

미국 시장 공략이 수소차 테마의 상승을 견인.

2차전지: 美 IRA 수정안에 대한 안도감과 반도체 수요 증가로 2차전지 관련주의 상승세가 지속.


하락 섹터 및 테마 분석

하락 섹터

섹터

대표 종목

등락률

하락 요인

건설

현대건설, 한전기술

-3.95%, -2.37%

주요 건설사 부채비율 상승 및 재무건전성 우려

의료/정밀기기

클래시스, 젬백스

-1.62%, -1.59%

바이오시밀러 테마 상승에도 불구하고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금속

대성산업, 흥구석유

-2.81%, -11.86%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협상 시한 발언으로 에너지 관련주 약세

운송/창고

STX그린로지스, 흥아해운

-10.53%, -8.05%

이란과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해운주 약세

기계/장비

한신기계, 우진

-6.85%, -8.45%

원자력발전 테마 약세 및 차익 실현 매물 출회

하락 테마

테마

대표 종목

등락률

하락 요인

에너지/LPG/도시가스

한국석유, 대성에너지, 흥구석유

-11.86%, -8.48%, -11.86%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협상 2주 시한 발언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해운

STX그린로지스, 흥아해운

-10.53%, -8.05%

이란과의 군사적 긴장 가능성으로 해운 경로 리스크 우려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대성하이텍, 빅텍, 한일단조

-8.45%, -6.85%, -2.37%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방산주 약세

원자력발전소 해체

우진, 한전KPS, 현대건설

-8.45%, -2.20%, -3.95%

원전 해체 시장 개화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단기 차익 실현 매물 출회

건설 대표주/중소형

현대건설, 한전기술

-3.95%, -2.37%

부채비율 상승 우려 및 추경 관련 모멘텀 약화

주요 하락 종목

한국석유 (-11.86%):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협상 시한 발언으로 에너지 가격 변동성 우려가 반영.

STX그린로지스 (-10.53%): 이란과의 지정학적 긴장으로 해운 경로 불확실성이 대두되며 약세.

우진 (-8.45%): 원자력발전소 해체 테마의 단기 모멘텀 약화와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

현대건설 (-3.95%): 주요 건설사들의 부채비율 상승 우려로 투자 심리가 위축.

삼성중공업 (-3.27%): 2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과 4.8조원 규모 공급계약 해지 여파로 약세.

하락 요인 분석

에너지/해운: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에 대한 2주 협상 시한 발언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되며 에너지 및 해운 관련주가 약세를 보였다.

특히, 이란과의 군사적 긴장 가능성이 해운 경로와 유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

방위산업: 지정학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방산주가 하락.

원자력발전소 해체: 고리 원전 1호기 해체 승인 심사를 앞두고 기대감이 있었으나,

단기적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시장을 압박..

건설: 주요 건설사들의 부채비율 상승 우려와 추경 관련 모멘텀 약화로 하락세 기록.


투자 전략

단기 전략 (1~3개월)

상승 섹터/테마 매수: AI/지능형로봇(데이타솔루션, 로보티즈), 화장품(한국화장품, 아모레퍼시픽), 영화(CJ CGV), 수소차(두산퓨얼셀) 등 정부 정책 수혜 테마에 집중. 단기적으로 추경과 AI 정책 기대감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하락 섹터/테마 관망: 에너지(한국석유), 해운(STX그린로지스), 방산(대성하이텍)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전까지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관망 추천.

리스크 관리: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환율 변동성을 고려해 포트폴리오 다변화 필요.

중기 전략 (3~12개월)

AI/반도체 지속 매수: SK하이닉스, 데이타솔루션 등 AI와 반도체 관련주는 중기적으로 정부 지원과 글로벌 수요 증가로 성장 가능성 높음.

화장품/소비재 선별 매수: K-뷰티(아모레퍼시픽)와 소비쿠폰 관련주(신세계푸드, GS리테일)는 중국 시장 회복과 내수 소비 확대에 따른 수혜 지속 예상.

.

방산/에너지 보수적 접근: 방산(LIG넥스원)은 중장기 수출 모멘텀이 있지만, 단기 지정학적 리스크로 변동성 주의.

장기 전략 (1년 이상)

AI/수소차 중심 투자: SK그룹의 데이터센터 및 수소차 관련 정책은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 두산퓨얼셀, SK하이닉스 등 지속 매수.

K-뷰티 글로벌 확장: 아모레퍼시픽, 한국화장품 등은 유럽·중동 시장 확대와 중국 소비 회복으로 장기 성장 가능.

리스크 헤지: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이란, 미국 정책)와 금리 변동성을 고려해 금, 채권 등 안전자산 비중 유지.

#증시요약 #카카오 #NAVER #한국화장품 #코리아나 #바른손이앤에이 #두산퓨얼셀 #에코프로비엠

※본자료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금융은 재미있습니다.

세계가 움직이는 흐름에 금융이 있습니다.

금융은 곧 자산입니다.

돈이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알면

당신도 그 중심에 설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금융이야기

증시요약_Lylie

[▶ 유튜브 링크]

▶미국 증시. 한국 증시 요약

http://www.youtube.com/@odin_kospikosdaq

[▼ 세부내역. PDF 보고서 원문 보기]

▶Blogger:

http://compoundx9.blogspot.com

▶instagram: compound_x0

https://www.instagram.com/compound_x0/

▶threads: @compound_x0

https://www.threads.com/@compound_x0?hl=ko

[▼ 협업 및 문의]

▶e-mail: paradigm.odin84@gmail.com

**면책 조항**

주가 예측은 불확실성을 동반하며, 본 시나리오는 제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정입니다.

투자 결정 전 자체 조사와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RX vs NXT: 주식 거래시간과 방법 완벽 정리!"

"미·중 무역협상 속 혼조세, 테슬라 급등"

K-조선, 미해군과 손잡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