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스테이블코인 급등, 반도체·2차전지 하락"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이란 핵시설 공습,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

외국인·기관 순매도, 새 정부 AI·스테이블코인 정책 기대감

2025년 6월 23일, 코스피는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와 외국인·기관의 동반 순매도 영향으로 6거래일 만에 하락하며 3,014.47(-0.24%)로 마감했다.

코스닥 역시 4거래일 만에 하락, 784.79(-0.85%)를 기록했다.

중동 긴장 지속, 반도체 약세,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핵시설 공습 발표 등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새 정부의 AI 및 스테이블코인 정책 기대감과 개인의 순매수가 낙폭을 제한했다.

상승 섹터는 AI, 로봇, 스테이블코인, 원자력발전소 해체 등이며,

하락 섹터는 반도체, 2차전지, 제약/바이오, 자율주행차 등이었다.


상승 및 하락 섹터/테마

섹터/테마

주요 종목

등락률

주요 상승 요인

지능형 로봇/AI

로보티즈, SKAI, 삼성에스디에스

+30.00%, +27.59%, +11.51%

이재명 정부 AI 정책, SK·AWS 데이터센터

스테이블코인/핀테크

위메이드플레이, 카카오페이

+29.99%, +15.58%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USDC.e 도입

원자력발전소 해체

두산에너빌리티, 오르비텍

+13.95%, +19.64%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기대

해운/방산/에너지

중앙에너비스, 풍산

+24.30%, +7.51%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 방산 수주

풍력/태양광

SK이터닉스, 한솔테크닉스

+27.60%, +12.61%

SK·AWS 재생에너지 연계

1. 지능형 로봇/인공지능(AI) 및 AI 챗봇 테마

종목 및 등락:

로보티즈(108490, +30.00%)

SKAI(357880, +27.59%)

비아이매트릭스(413640, +15.70%)

삼성에스디에스(018260, +11.51%)

데이타솔루션(263800, +10.63%)

클로봇(466100, +9.53%)

루닛(328130, +12.34%)

상승 요인: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 기대감이 주요 동력. 초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로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로 한성숙 전 네이버 대표가 지명되며 AI 주권(소버린 AI) 개발과 민간 투자 촉진 정책이 가시화.

SK그룹과 AWS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 소식과 LG그룹의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 확장이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SKAI인텔리전스의 옴니버스 기반 AIGC 솔루션 공개는 글로벌 AI 콘텐츠 제작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 기대감을 부각시켰다.

종목별 분석:

로보티즈: 협동로봇 및 AI 솔루션 기업으로, 정부의 AI 정책과 로봇 산업 육성 기대감에 상한가 기록.

SKAI: 관계사 SKAI인텔리전스의 유럽 기술 박람회에서의 솔루션 공개로 AI 콘텐츠 제작 기술력 부각.

삼성에스디에스: AI 및 클라우드 사업 확장과 주주 환원 정책 개선 기대감으로 강세.

루닛: 의료AI 분야에서 정부 정책 수혜와 글로벌 시장 확대 전망으로 상승.

2. 스테이블코인/핀테크/전자결제 테마

종목 및 등락:

위메이드플레이(123420, +29.99%)

위메이드맥스(101730, +29.97%)

위메이드(112040, +27.60%)

넥써쓰(205500, +29.94%)

카카오페이(377300, +15.58%)

신세계 I&C(035510, +10.39%)

유라클(088340, +10.38%)

헥토파이낸셜(234340, +2.91%)

상승 요인: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기대감과 카카오페이의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소식이 테마를 견인.

위믹스3.0 메인넷에 USDC.e 스테이블코인 도입으로 위메이드 그룹주의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가능성이 부각.

유진투자증권의 보고서에서 카카오페이의 선불 충전 잔액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업 경쟁력 분석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종목별 분석:

위메이드 그룹: USDC.e 도입으로 블록체인 게임 및 금융 융합 가능성에 급등.

카카오페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 출원과 핀테크 플랫폼의 결제 네트워크 확장 기대감으로 강세.

넥써쓰: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x’ 상표권 출원으로 신규 사업 진출 기대감.

3. 원자력발전소 해체 테마

종목 및 등락:

두산에너빌리티(034020, +13.95%)

오르비텍(046120, +19.64%)

대창솔루션(096350, +13%)

우진엔텍(457550, +10.50%)

한전KPS(051600, +4.68%)

상승 요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6월 26일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안건을 상정하며 국내 원전 해체 시장 개화 기대감이 커졌다.

글로벌 원전 해체 시장(약 500조원 규모)에서 한국의 기술 경쟁력 확보 가능성이 부각.

종목별 분석:

두산에너빌리티: 원전 해체 기술 및 글로벌 원자력 발전 수주 확대 전망으로 강세.

오르비텍: 원전 해체 관련 검사 및 기술 서비스 제공으로 시장 선점 기대.

4. 해운/방산/에너지 테마

종목 및 등락:

중앙에너비스(000440, +24.30%)

흥구석유(024060, +17.64%)

흥아해운(003280, +15.48%)

STX그린로지스(465770, +12.27%)

한국석유(004090, +16.87%)

대성에너지(117580, +14.35%)

지에스이(053050, +11.29%)

풍산홀딩스(005810, +14.93%)

풍산(103140, +7.51%)

상승 요인: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과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의결로 원유 공급 차질 우려가 커지며 유가 상승 기대감이 반영.

방산 기업들은 중동 긴장 고조로 무기 수요 증가 가능성에 주목받았다.

종목별 분석: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LPG 및 에너지 유통 기업으로 유가 상승 수혜 기대.

풍산: 현대로템의 폴란드향 포탄 수주 가능성으로 방산 실적 개선 전망.

5. 풍력/태양광 에너지 테마

.

종목 및 등락:

SK이터닉스(475150, +27.60%)

대창솔루션(096350, +13.65%)

한솔테크닉스(004710, +12.61%)

그리드위즈(453450, +9.93%)

상승 요인:

SK그룹과 AWS의 울산 데이터센터 구축 과정에서 재생에너지 연계 추진 소식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RE100 이니셔티브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제언이 시장의 관심을 끌었다.

종목별 분석:

SK이터닉스: 풍력 및 태양광 사업 확장으로 재생에너지 수혜 기대.


하락 섹터 및 테마 분석

섹터/테마

주요 종목

등락률

주요 하락 요인

반도체

삼성전자, 한미반도체

-2.52%, -2.80%

반도체 규제, 중국 장비 반입 제한

2차전지/전기차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3.61%, -3.97%

전기차 수요 둔화, 자율주행 규제

제약/바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HLB

-2.36%, -4.11%

신약 개발 비용, 마리화나 규제

자율주행차

라닉스, 퀄리타스반도체

-3.50%, -4.10%

텍사스 자율주행차 규제 법안

1. 반도체 테마

종목 및 등락:

삼성전자(005930, -2.52%)

한미반도체(042700, -2.80%)

동진쎄미켐(005290, -3.72%)

테크윙(089030, -3.53%)

하나마이크론(067310, -3.04%)

하락 요인:

트럼프 대통령의 반도체 규제 발표와 미국의 중국 내 반도체 장비 반입 제한 소식이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NH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생산 비중(각각 NAND 36%, DRAM 37%)이 제한적이나 장비 공급 지연 리스크가 부각.

종목별 분석:

삼성전자: 글로벌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와 중국 투자 리스크로 약세.

한미반도체: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 영향으로 하락.

2. 2차전지/전기차 테마

종목 및 등락:

LG에너지솔루션(373220, -3.61%)

삼성SDI(006400, -3.97%)

에코프로비엠(247540, -2.75%)

에코프로(086520, -3.16%)

엔켐(348370, -4.66%)

하락 요인:

전기차 수요 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성으로 2차전지 기업들의 성장 전망이 약화.

미국 텍사스주의 자율주행차 규제 법안 서명으로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단기 모멘텀이 약화.

종목별 분석: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 우려로 약세.

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소재 수요 감소 전망으로 하락.

3. 제약/바이오 테마

종목 및 등락: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2.36%)

셀트리온(068270, -1.97%)

알테오젠(196170, -2.56%)

HLB(028300, -4.11%)

리가켐바이오(141080, -2.98%)

휴젤(145020, -1.76%)

하락 요인:

글로벌 바이오 섹터의 투자 심리 위축과 신약 개발 비용 증가 우려.

대법원의 칸나비디올(CBD) 관련 대마 규제 판결로 마리화나 관련 바이오 기업들의 전망이 어두워졌다.

종목별 분석:

삼성바이오로직스: 글로벌 바이오 수주 둔화 우려로 약세.

HLB: 신약 개발 지연 리스크로 하락.

4. 자율주행차 테마

종목 및 등락:

라닉스(317120, -3.50%)

코리아에프티(123410, -2.80%)

퀄리타스반도체(432720, -4.10%)

하락 요인:

미국 텍사스주의 자율주행차 규제 법안 서명으로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다.

테슬라의 로보택시 서비스 발표에도 불구하고 단기적 수익화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반영.

종목별 분석:

라닉스: 자율주행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로 약세.

전략 제안

단기 전략 (1~3개월)

상승 테마 집중: AI, 로봇, 스테이블코인, 원자력발전소 해체 테마 중심으로 단기 모멘텀 활용. 특히, 로보티즈, SKAI, 카카오페이 등 정책 수혜주에 주목.

리스크 관리: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와 유가 변동성에 대비해 에너지 및 방산주(중앙에너비스, 풍산)로 포트폴리오

다각화.

반도체 회피: 반도체 섹터의 규제 리스크와 수요 둔화 우려로 단기적 회피 추천.

중기 전략 (3~12개월)

AI 및 재생에너지 지속 투자: 이재명 정부의 AI 정책과 SK·AWS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로 AI 및 재생에너지(풍력/태양광) 섹터의 중기 성장 전망 밝음. 삼성에스디에스, SK이터닉스 추천.

원전 해체 시장 주목: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을 계기로 두산에너빌리티, 오르비텍 등 원전 해체 관련주의 중기 성장 가능성 높음.

2차전지 관망: 전기차 수요 회복 신호를 확인 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에 재진입 고려.

장기 전략 (1년 이상)

AI 및 블록체인 구조적 성장: AI(소버린 AI)와 스테이블코인 기반 핀테크 섹터는 장기 성장 동력. NAVER, 카카오페이, 위메이드 등에 지속 투자.

글로벌 원전 시장 선점: 두산에너빌리티를 중심으로 원전 해체 및 신규 원전 수주 관련주의 장기 성장 가능성 높음.

반도체 회복 기대: 반도체 규제 리스크 완화와 수요 회복 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재투자 기회.

#증시요약 #두산에너비리티 #SK이터닉스 #NAVER #삼성에스디에스 #카카오 #로보티즈 #위메이드 #미래에셋증권

※본자료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특정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님을 명확히 합니다.

금융은 재미있습니다.

세계가 움직이는 흐름에 금융이 있습니다.

금융은 곧 자산입니다.

돈이 어느 곳으로 이동하는지 알면

당신도 그 중심에 설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금융이야기

증시요약_Lylie

[▶ 유튜브 링크]

▶미국 증시. 한국 증시 요약

http://www.youtube.com/@odin_kospikosdaq

[▼ 세부내역. PDF 보고서 원문 보기]

▶Blogger:

http://compoundx9.blogspot.com

▶instagram: compound_x0

https://www.instagram.com/compound_x0/

▶threads: @compound_x0

https://www.threads.com/@compound_x0?hl=ko

[▼ 협업 및 문의]

▶e-mail: paradigm.odin84@gmail.com

**면책 조항**

주가 예측은 불확실성을 동반하며, 본 시나리오는 제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추정입니다.

투자 결정 전 자체 조사와 전문가 상담이 필요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RX vs NXT: 주식 거래시간과 방법 완벽 정리!"

"미·중 무역협상 속 혼조세, 테슬라 급등"

K-조선, 미해군과 손잡다